전기차와 수소전기차는 친환경 자동차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두 차의 가격은 상당히 차이가 납니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는 내연기관차보다 약 1.5배, 수소전기차는 전기차보다 1.5배 비싼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왜 이런 가격 차이가 발생하는 것일까요?
전기차의 비싼 이유 배터리
전기차의 가장 큰 비용 요인은 바로 배터리입니다. 전기차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용량과 성능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현재 기술로는 배터리를 대량생산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배터리의 가격이 전체 차량가격의 30~40%를 차지하게 됩니다.
또한 전기차의 보험료도 비싼 편입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보다 평균 보험료가 약 19만 원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기차의 차량가액과 평균 수리비가 높기 때문입니다. 전기차의 평균 차량가액은 4784만 원, 비전기차는 2597만 원으로 전기차가 80%가량 비쌌습니다 전기차는 고전압배터리, 전자제어장치, 센서 등 평균 부품비가 167만 9000원으로 비전기차 (103만 1000원) 대비 더 비싼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수소전기차의 비싼 이유 연료전지
수소전기차의 가장 큰 비용 요인은 바로 연료전지입니다. 수소전기차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연료전지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그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현재 기술로는 연료전지를 대량생산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연료전지의 가격이 전체 차량가격의 50% 이상을 차지하게 됩니다.
수소전기차의 충전 인프라도 부족한 편입니다. 현재 국내에는 수소충전소가 전국에 56개뿐입니다. 설치 비용이 막대하게 들어가서 입니다. 승용차를 위한 수소전기차 충전소 설립에 30억 원 정도가 들어갑니다 또한 지역 주민들이 수소를 폭발 가능성 때문에 꺼리는 것도 현실입니다
결론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는 친환경 자동차로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두 차의 가격은 아직 내연기관차에 비해 비싼 편입니다. 이는 기술 상용화와 인프라 구축이 미흡하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전기차와 수소전기차의 기술력이 발전하고, 충전소가 확대되면 가격 경쟁력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도움 되는 자동차 TIP
- 2023 주유비 할인 신용카드 추천 TOP2 - 주유비 최대 10% 절약 카드
- 7월 국산차 세금 인하 최대 50만원 - 국산차 구매 전이라면 절약하세요!
- 3천만 원대 전기차 추천 TOP 5 - 코나 일렉트릭부터 토레스 EVX까지 2023
- 2023년 세계에서 가장 연비 좋은 차 TOP 5
- 급발진 차량 순위 및 사고 대처법 (국토교통부 산하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료)